본문 바로가기
Sketchup/강의

스케치업 지우개 도구 사용법, smooth,hide 기능

by 라브 LaV 2025. 3. 19.
반응형

스케치업에서 요소를 삭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도 상황에 따른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알아 두셔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우개 도구의 기본 개념두 가지 삭제 방식, 그리고 지우개 도구의 다양한 특수 기능을 소개합니다. 또한,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목차

지우개 도구 사용법

지우는 방식에는 크게 2방식이 존재하고,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모든 프로그램에서 통용되는 delete 방식이 있겠습니다. 이 delete의 경우 대상을 항상 먼저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부분에서도 단점이 많이 존재하는데, 섬세하게 지우기에는 선택하는 방식의 범위가 넓고, 피로감이 크다는 것입니다. 특히, 지워야 할 선이 많은 부분에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지우개 도구 사용법에 대해 아실 필요가 있습니다.

지우개 아이콘, 커서 모습

지우개의 단축키는 'e'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이기에 반드시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위의 지우개 커서 모습을 보면 지우개 아래쪽으로 동그라미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지우개 커서에서 기능이 상호작용하는 부분이기에 이 동그란 부분에 지울부분이 닿도록 해야 대상이 지워집니다.

 

단지 클릭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실제 지우개를 쓸 때와 같이 드래그해서 지우셔야 합니다.(클릭한 채로 선을 지나치면서 지움)

 

또한, 지우개로는 면을 대상으로 지울 수는 없습니다. 면을 클릭한다고 해서 반응하지 않으며, 위와 같이 면을 구성하는 해당 선을 지움으로써 면이 해체되는 형식 될 수 있겠습니다. 

 

◆ 지워야 할 선이 많고, 한 곳에 집중되어 있다? - 지우개 도구 

◆전체적으로 지워야 할 부분과 선택하기가 편한부분을 지워야 한다? - delete키

 

지우개 특수 기능

Hide

지우개 hide 커서 모습

지우개 기능에서 shift는 hide 기능입니다. 

다각형 주위를 shift를 누른다면 해당 선들을 지나가게 되면 위와 같이 선의 실루엣이 남으며, 숨겨지는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Smooth

지우개 smooth 커서 모습

 지우개 기능에서 ctrl은 smooth 기능입니다. 

지우개 hide기능과 같은 방식으로 쓰시게 되면 smooth기능이 실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ide와는 다르게 선의 실루엣이 남지 않고 부드러워지는 면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외부 배경과의 경계에서 음영이 짙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Unhide

스무스와 하이드 둘다 선이 숨겨지는 형태이기에 이 숨겨진 선을 확인하는 방식은 view - hidden geometry입니다.

좌 : smooth / 우 : hide

이렇게 안 보였던 선들을 히든 지오메트리로 볼 수 있으며 스무스와 하이드 두 선의 점선형태가 서로 다른 것도 확인 가능합니다.

 

이 점선들을 선택하여 우클릭하면 unhide 메뉴가 있습니다. 다만 이렇게 항상 사용하기에는 절차가 너무 많이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지우개 자체 기능에 unhide 기능이 있습니다. 

지우개 unhide 커서 모습

 지우개 기능에서 alt은 unhide 기능입니다.

지우개 alt를 토글로 on/off 하면 히든 지오메트리를 켜게 되는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되며, 드래그 시 smooth, hide선 구분 없이 unhide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우개의 기본 기능부터 다양한 활용 방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지우개 도구는 Ctrl, Shift, Alt 키와 함께 사용할 때 각각 다른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모든 기능을 외우려고 부담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오히려 하나씩 억지로 기억하려 하면 금방 3D 작업에 흥미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필요할 때마다 Ctrl, Shift, Alt 키를 번갈아 눌러보며 기능을 직접 경험하는 것입니다. 만약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Ctrl + Z(실행 취소)를 활용해 다시 시도해 보세요. 이렇게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