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etchup/강의

스케치업 푸시풀 도구 특수 기능 사용법

by 라브 LaV 2025. 5. 6.
반응형

이전 포스팅에서는 푸시풀 도구의 기본 기능에 대해서만 알아봤습니다. 이 푸시풀은 기본기능도 중요하지만 특수 기능을 아셔야 더 쉽게 이용가능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푸시풀이 가지는 특수 기능들에 대해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시간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스케치업 push 도구 사용법

스케치업의 꽃이라 불리는 몇 가지 도구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push pull도구는 지금까지 스케치업이 가장 쉬운 3d 프로그램이라는 정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해준 도구 중 1등 공신이라고 할

lavision-studio.tistory.com

 
 
자동목차

추정 기능

첫 번째는 푸시풀이 가지는 추정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키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기능이라기보다는 마우스 커서를 이용하는 기능입니다.

높이가 있는 직육면체의 높이에 맞춰 오른쪽의 사각형을 같은 높이로 맞춘다고 가정할때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푸시 툴로 우측의 사각형을 올리고 측정값을 누르는 것이 아니라 기능이 사용되는 중 커서를 높이만큼의 높이에 해당하는 면위로 커서를 올리면 되겠습니다.

 

해당 높이의 추정치를 커서가 찾아주게 되며 푸시가 되는 면은 그 높이만큼 올라가게 되겠습니다.

반복 기능

푸시 툴은 측정값을 입력을 하든, 추정기능을 이용했던 것처럼 높이 만큼에서 커서를 이용해 누르게 되면 그 높이 값이 기능 내에 기억이 됩니다. 

더블 클릭을 통해 이 높이만큼 한 번에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위와 같이 더블 클릭을 통해 추정 값만큼의 높이로 더블클릭을 통해 반복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복제면 밀기

복제면 밀기란 해당하는 면을 그대로 올리는 것이 아닌 원본의 면을 두고 복제면을 올리는 것입니다.

 

해당 기능을 실행은 ctrl입니다. 

원하는 면에서 ctrl을 누르면 위와 같은 커서의 형태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복제면 밀기가 실행됩니다. 

 

토글 버튼 형식이며 on/off처럼 기능을 켰다 껐다 하는 것이기에 커서 모양을 잘 보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왼쪽은 일반적으로 올리는 밀기 / 우측은 ctrl 한번 누르고 복사면 밀기를 실행한 것입니다.

 

중간에 원본면을 두고 복사된 면을 올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치 기능

스트레치 기능은 alt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케치업 초창기부터 있었던 기능은 아닙니다. 

 

좌 - 일반 푸시풀 기능, 우 - alt를 이용한 스트레치 기능

스트레치 기능은 면의 방향대로 늘리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해당 면과 직접적으로 붙어있는 다른 요소들도 함께 딸려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무브툴로 움직이는 것과 같지만, 해당 면 방향으로만 움직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오히려 제약적이지만 무브툴과 다르게 통제가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저의 경우 늘리는 형식을 넣는 방식에서 훨씬 많이 이용합니다. 이렇게 해당 면 방향으로 넣게 되면 면이 겹치는 것도 없이 사면을 만드는 것에서도 사용가능해서 편리합니다.


푸쉬툴의 다양한 기능들을 알아봤습니다. 이 4가지 기능은 푸시 툴을 잘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 기능들이기에 필히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