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etchup/강의20 스케치업 사각형 도구 사용법 사각형 그리는 다양한 방식 스케치업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그려보는 도형이 무엇인가요? 바로 사각형(Rectangle)입니다. 또한 인테리어, 건축 등의 구조를 잡는 경우 가장 많이 쓰이는 도구이기도 합니다.한 번 클릭하고 드래그만 하면 쉽게 그릴 수 있지만,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조절하려면 몇 가지 팁도 필요합니다.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단순해 보이지만 강력한 사각형 도구, 지금부터 제대로 활용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목차사각형 그리기 스케치업에서 사각형을 그리려면 툴바에서 사각형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R’을 누르면 됩니다.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이기에 반드시 외워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사각형 도구 선택하기(위치)라지 툴셋에서 사각형 툴 위치 상단 메뉴에서 사각형 툴 위치▲ 사각형 도구의 위치는 라지 툴셋 이나 겟팅 .. 2025. 3. 28. 스케치업 좌표 사용방법 절대좌표 상대좌표 스케치업도 캐드와 마찬가지로 좌표로서 이루어집니다. 스케치업 사용 할 때 이 좌표가 자주 사용되는가? 하고 묻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사실 자주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 개념을 알고 모르고의 차이로 프로그램의 이해도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좀 귀찮으시고 배우기 싫더라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제가 가끔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이 포스팅에서는 스케치업의 좌표 이해에 필요한 절대좌표와 상대좌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목차스케치업 좌표▲ 수학 시간에 배웠던 좌표 개념, 캐드나 스케치업에서는 이 좌표의 숫자가 눈에 보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좌표축을 보면 X축과 Y축이 보이는데, 스케치업에서는 3d인 상황이기에 Z축이 추가됩니다. (Z .. 2025. 3. 24. 스케치업 지우개 도구 사용법, smooth,hide 기능 스케치업에서 요소를 삭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도 상황에 따른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알아 두셔야 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우개 도구의 기본 개념, 두 가지 삭제 방식, 그리고 지우개 도구의 다양한 특수 기능을 소개합니다. 또한,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자동목차지우개 도구 사용법지우는 방식에는 크게 2방식이 존재하고,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모든 프로그램에서 통용되는 delete 방식이 있겠습니다. 이 delete의 경우 대상을 항상 먼저 선택해주셔야 합니다. 그러나 이런 부분에서도 단점이 많이 존재하는데, 섬세하게 지우기에는 선택하는 방식의 범위가 넓고, 피로감이 크다는 것입니다. 특히, 지워야 할 선이 많은 부분에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지우개.. 2025. 3. 19. 스케치업 메트리얼 복수 적용 방법 페인트 버킷(페인트 통)을 이용하여 재질(메트리얼)을 적용하는 것은 해봤습니다. 그리고 텍스쳐를 넣는 방식도 알아봤고요. 그런데 이렇게 하나하나 클릭하는 것은 작은 것에서는 별 무리 없지만 건물을 만든다거나, 넓은 조경을 할 땐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일 때가 큽니다. 특히 수정을 할 때 더 그렇겠죠.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같은 재질끼리 한꺼번에 수정이 가능하도록 복수 적용이 가능한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목차 선택툴 이용▲ 만일 위와 같이 컬러 메트리얼로 채워진 정육면체를 다시 원래의 하얀 default 형태로 되돌리고 싶은 경우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단 그렇게 해줄 수 있는 버튼의 위치를 찾아야겠죠2024 이전 버전 default set 위치 2025 이후 버전 default set.. 2025. 3. 18. 스케치업 텍스쳐 추가 방법 스케치업에서 메트리얼의 색을 넣는 방법은 매우 쉽지만 이미지를 이용한 재질을 만드는 방식이 있다는 것은 초보자들에게 쉽진 않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만 알려드려도, 텍스쳐 넣는 것이 매우 간단한 기능이라는 것을 곧 알게 되실 겁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텍스쳐가 무엇인지? 텍스쳐를 넣는 방식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목차텍스쳐란?스케치업에서 텍스처(Texture) 란 모델의 표면을 더욱 사실적으로 보이게 만드는 이미지입니다.텍스처는 색상만 있는 단순한 표면이 아니라, 나무, 벽돌, 금속, 천 같은 실제 재질의 느낌을 표현하는 이미지입니다.마치 벽에 페인트를 칠하는 대신 벽지(이미지)를 붙이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됩니다.텍스처를 사용하는 이유그럼 이런 텍스쳐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 까요?사.. 2025. 3. 17. 스케치업 축 고정 방법 선을 그리거나 도형을 그리는 경우 원하는 축에 맞춰 그리고 싶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건축이나 인테리어의 경우 축을 맞춰서 그리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기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는 선, 면 등에서 축을 고정하는 방식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목차3D 축 ▲ 선 그리기를 시작하면 첫 점을 찍은 후 원하는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때 선의 색상이 변하며, 특정 지점에서 마치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선의 색상은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으로 표시되는데, 이는 각각 X, Y, Z 축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걸리는 느낌은 스케치업의 특징 중 하나로, 세계축(World Axis)과 동일한 방향의 선이나 면에 접근할 때 자동으로 축 스냅이.. 2025. 3. 1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